주식입문기(2020~)/종목테마

[종목테마] 수송 배관 강관 관련주

주식초보_졸리 2025. 3. 4. 11:18
728x90
반응형

< 2025. 03. 04. >

☞ #N/A : 기업 실절 미발표

 

석유, 가스전 개발을 위한 유정관/송유관 등을 만드는 강관 업체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철강 관세 부과로 미국 내 유정관 가격 급등 중

미국에 공장 있는 기업들 특히 강세

 

미국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와 한국의 투자 가능성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알래스카 지역의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해외 투자 유치를 추진하면서, 한국에도 참여 요구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1.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개요
위치: 알래스카 북부 노스슬로프 지역
목적: 막대한 천연가스 매장량(약 35조 입방피트)을 활용하여 수출
개발 계획: 노스슬로프에서 알래스카 남부 니키스키까지 1300km 가스관 건설
총 개발비: 387억 달러(약 57조 원)

 

2. 미국의 투자 요청 배경
민간 기업(엑손모빌 등)이 사업성이 불투명하다고 판단해 철수
2020년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 승인 후에도 투자자 미확보
트럼프 대통령이 최우선 개발 사업으로 지정하고 일본·한국 등 투자 유치 시도

 

3. 한국에 대한 영향 및 고려 요소
✅ 이점
운송 거리 단축: 기존 중동·미국산 LNG 대비 수송기간이 짧아(8일 vs 수주) 비용 절감 가능
유가 변동성 헷지: 가격이 유가와 연동되지 않아 리스크 관리에 유리

 

⚠️ 위험 요소
사업성 불투명: 초기 투자비가 막대하며, 경제성이 확실하지 않음
환경·정책 리스크: 미국 정권 교체 및 환경 규제로 프로젝트 진행이 불확실
장기 계약 부담: 투자 시 장기 구매 계약이 필수적이지만, 향후 LNG 가격 하락 가능성이 존재

 

4. 전문가 및 정부 입장
신중론: 경제성과 환경성을 따져볼 필요 있음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략적 접근 필요: 미국의 통상 압박 완화를 위한 협상 카드로 활용 가능하나, 장기 구매 혜택 등 인센티브 확보 필수 (무역협회)
정부 공식 입장: “매우 신중하게 검토 중”

 미국의 통상 압박을 고려하면 한국의 투자 참여가 협상 카드가 될 수 있지만, 경제성과 정책 리스크를 철저히 분석한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휴스틸 #넥스틸 #세아제강 #하이스틸 #한국주철관 #SK오션플랜트

 

<2021.10.11>

● 강관은 내부가 빈 봉 형태의 철강 제품으로 상수도관, 가스관, 각종 배관, 건설·교량 등의 기초물로 활용

● 수소산업과 관련한 강관 소재 및 튜브 제품을 수입에 의존 중이며 국내 벨류체인의 구축 진행 필요

=======

▲ 세아제강지주

강관 1449 5.73

구조용, 유정용, 배관용, 상수도용 강관 제조

고부가가치 제품, 풍력발전 하부구조물, 액화천연가스(LNG)터미널용 대구경 강관(지름이 큰 파이프) 등

유럽 해상풍력 르네상스, 세아가 英 수요 절반 먹는다

현재그래프확인바로가기

=======

▲ 세아제강

강관 1224 #N/A

세아그룹 계열의 철강업체

구조/유정/배관/상수도용 강관(탄소강관, STS강관)과 건축자재/가전 판재(컬러강판, 아연도강판) 제품 등 생산

세아제강, 미주향 에너지용 강관 수익성 개선

북미 시장의 건설과 오일·가스 산업이 회복하면서 배관재와 에너지용 강관 등 주요 제품 판매가 증가

현재그래프확인바로가기

 

미국 철강가격을 보면 답이 보인다
2Q21 국내외 강관 가격 상승으로 큰 폭의 수익성 개선
3분기 국내외 강관 가격 상승 수혜 지속 전망
BUY / 목표주가 16만원 / 하나금투 박성봉

=======

▲ 한국주철관

강관 331 6.19

상하수도용 주철관 및 강관 제조업체

상하수도용 덕타일주철관과 일반사업에 필요한 부품 또는 소재관련 주물제품 등을 생산

주요 수요처는 조달청 및 각급 지자체, 수자원공사 등

현재그래프확인바로가기

=======

▲ 휴스틸

강관 145 4.87

배관용 강관 및 전선관 등 제조

현재그래프확인바로가기

=======

 

※ 주의 정보 제공 목적,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