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입문기(2020~)/종목테마

[종목테마] 시간외 특징주 _ 2025.02.04

주식초보_졸리 2025. 2. 4. 19:08
반응형

< 2025. 02. 04. 시간외 특징주 >

엠케이전자 (033160) 中 딥시크 등장에 따른 반사 수혜 기대감 속 中 반도체 사업 진행
싸이맥스 (160980) 지난해 호실적
이노스페이스 (462350) LIG넥스원(주)와 공급계약(모의발사체 등 3종) 체결 공시
피델릭스 (032580) 딥시크 등장에 따른 반사 수혜 기대감 지속 속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 플래시 메모리 부문 전략적 제휴
SK가스 (018670) 매출액 1.98조원(전년동기대비 +21.8%), 영업이익 1,228.9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보통주 1주당 6,000원(시가배당율 2.8%)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 공시
대동기어 (008830) 대동 그룹주 상승. 중국, 미국산 농기계에 10% 관세 부과 소식

 

< 2025. 02. 03. 시간외 특징주 >

피델릭스 (032580) 딥시크 등장에 따른 반사 수혜 기대감 지속 속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 플래시 메모리 부문 전략적 제휴
크리스탈신소재 (900250) 美 국제무역위원회(ITC), 中 흑연 불공정거래 인정 관련 예비 판정 소식 속 시간외 일부 그래핀 테마
아미노로직스 (074430) 트럼프 관세 쇼크, 글로벌 관세 확전 우려 속 아미노산, 곡물 대체제로 부각
기가비스 (420770) 일본 반도체 기판 제조회사와 153.7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6.82%)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기판 검사 및 수리장비) 체결 공시
새빗켐 (107600) 에스케이아이엘에코시너지밸류업1호 유한회사(변경예정최대주주) 대상 1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모베이스 (101330) 6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공시
비비안 (002070) 최대주주가 (주)쌍방울로 변경 공시
엠케이전자 (033160) 中 딥시크 등장에 따른 반사 수혜 기대감 속 中 반도체 사업 진행
상보 (027580) 美 국제무역위원회(ITC), 中 흑연 불공정거래 인정 관련 예비 판정 소식 속 시간외 일부 그래핀 테마
폴라리스AI (039980) 오픈AI CEO 방한 소식 및 中 딥시크 반사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피델릭스(032580 코스닥)는 메모리 반도체를 개발·판매하는 팹리스 전문 기업으로, 모바일 DRAM, NOR 플래시 메모리, MCP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업체인 SMIC와 플래시 메모리 부문에서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으며, 최대 주주는 중국 반도체 회사인 동심반도체주식유한공사(Dosilicon)입니다.

 재무 지표를 살펴보면, 2023년 기준 PER(주가수익비율)은 48.55, PBR(주가순자산비율)은 1.03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반도체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미국과 중국 간의 반도체 갈등 상황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2024년 3분기까지의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액 3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감소, 영업손실 2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 폭이 804.7% 증가, 당기순손실: 22억 원으로 적자 전환하였습니다.

 

< 호재 요인 >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
2024년 하반기부터 반도체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
D램 및 플래시 메모리 가격 반등 전망
중국 반도체 기업과 협력 강화
최대 주주인 중국 동심반도체(Dosilicon)와의 협력 지속
중국 반도체 자급률 확대 정책의 수혜 가능성
AI 및 전장 반도체 시장 진출 기대
AI 및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가능성

 

< 리스크 요인 >
메모리 업황 불확실성
반도체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
중국 리스크
미·중 반도체 갈등 심화 시 규제 영향 가능성
중국 경제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 우려
재무 건전성 악화 가능성
지속된 적자로 인해 영업이익이 악화될 경우 추가 자금 조달 필요성

 

※ 주의 정보 제공 목적,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728x90
반응형